반응형
컴퓨터는 0과 1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우리가 사용하는 숫자를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해 이진법을 이용했습니다. 문자는 어떻게 입력해야 할까요?
문자는 숫자에 대응시켜서 입력합니다.
문자를 숫자에 대응시키는 표준이 있는데요. ANSI 에서 만든 아스키입니다.
아스키(ASCII) :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
몇가지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.
33 : !
35 : #
37 : %
우리가 문자를 입력하면 컴퓨터에서는 숫자로 변환하여 저장합니다. 아래 예시를 봅시다.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char A;
A='!';
printf("%d \n",A);
printf("%c",A);
}
! 라는 문자를 정수형태로 출력하면 33이 출력됩니다. 아스키코드입니다.
반응형
'C언어 > 자료형 (숫자,논리,문자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언어] int 변수를 char 로 바꾸면 벌어지는 일 (0) | 2022.03.03 |
---|---|
[C언어] 문자와 문자열 (0) | 2022.03.02 |
[C언어] 정수 자료형의 종류와 출력형식 (0) | 2022.02.28 |
[C언어] 정수의 표현 (비트와 바이트) (0) | 2022.02.28 |
[C언어] 자료형의 종류 (0) | 2022.02.2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