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정수 자료형을 정의할 때 아래와 같이 선언하고 나서 정의합니다.
int var;
var=3;
int var 은 var 라는 변수를 정의할 것인데, 자료형을 int 로 사용할 것이라는 뜻입니다. int 는 정수자료형이고, 4바이트를 사용합니다.
정수자료형은 int 외에도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.
Type | Size(byte) | 범위 | 출력형식 |
char | 1 | -128~127 | %c |
short | 2 | -32768~32767 | %hd |
int | 4 | -2147183648~2147483647 | %d |
long | 4 | -2147183648~2147483647 | %ld |
long long | 8 | -9223372036854775808~9223372036854775807 | %lld |
부호가 없는 unsigned 도 있는데 생략합니다.
아래와 같이 sizeof 함수를 이용하여 자료형의 사이즈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. %lu 는 unsigned long의 출력형식입니다. sizeof 함수 반환결과가 unsigned long 타입이라서 %lu 로 설정하였습니다.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printf("size %lu \n",sizeof(int));
printf("size %lu \n",sizeof(long));
printf("size %lu",sizeof(long long));
}
반응형
'C언어 > 자료형 (숫자,논리,문자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언어] int 변수를 char 로 바꾸면 벌어지는 일 (0) | 2022.03.03 |
---|---|
[C언어] 문자와 문자열 (0) | 2022.03.02 |
[C언어] 문자 자료형과 아스키코드 (0) | 2022.03.02 |
[C언어] 정수의 표현 (비트와 바이트) (0) | 2022.02.28 |
[C언어] 자료형의 종류 (0) | 2022.02.2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