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c언어에서 문자를 입력하면 정수로 저장됩니다. 우리가 볼 때는 문자와 정수의 차이가 있지만 컴퓨터가 인식하기에는 똑같습니다.
C언어가 문자를 나타내는 방식은 각 문자를 정수에 대응시켜 사용하는 것입니다. 이렇게 대응시켜놓은 규칙이 아스키코드입니다. 아래는 몇가지 예시입니다.
97 a
98 b
99 c
100 d
우리가 C언어에 a라고 입력하면, C언어는 97이라는 정수로 받아들입니다. 그렇다면 정수와 문자를 어떻게 구분할까요? 서식문자로 구분합니다. %c 들어보셨죠?
a를 선언하고 출력해봅시다.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char c1='a';
printf("%d \n",c1);
printf("%c \n",c1);
}
정수로 출력하면 97이 출력되고, 문자로 출력하면 a가 출력됩니다.
반응형
'C언어 > 자료형 (숫자,논리,문자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언어] 자료형 한눈에보기 (0) | 2022.07.08 |
---|---|
[C언어] 자료형의 크기를 확인하는 방법 (0) | 2022.07.08 |
[C언어] 정수 표현 범위 쉽게 이해하기 (왜 음수가 더 많나) (0) | 2022.07.08 |
[C언어] 2의 보수법 아주 쉽게 이해하기 (정수의 표현방식) (0) | 2022.07.08 |
[C언어] 정수로 정수를 나누면? (0) | 2022.03.0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