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어떤 변수가 정의되면 저장공간을 할당받습니다. 각 저장공간에는 고유한 주소가 있는데요. 이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가 포인터변수입니다.
아래는 예시입니다.
int main(void)
{
int num=3;
int * pnt_num=#
printf("%p \n",pnt_num);
printf("%d",*pnt_num);
}
&는 주소를 가져오는 주소연산자입니다.
num의 주소를 가져다가 pnt_num 에 저장하였습니다. 포인터변수를 정의할 때는 *를 붙입니다. 출력할 때 서식문자는 %p입니다.
포인터가 가리키는 주소에 저장된 값을 출력할 때는 * 연산자를 사용합니다.
반응형
'C언어 > 포인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언어] 포인터의 포인터의 포인터 (다중 포인터) (0) | 2022.04.07 |
---|---|
[C언어] 포인터의 포인터 (0) | 2022.04.01 |
[C언어] 포인터 변수의 크기는 그냥 포인터의 크기이다 (0) | 2022.03.31 |
[C언어] 포인터 연산의 활용 (0) | 2022.03.31 |
[C언어] 포인터의 연산 (0) | 2022.03.31 |
댓글